원래도 무더웠던 여름이지만, 이번엔 마스크까지 껴야 하는 상황에서 이상기후의 영향까지 덮쳐 더욱 더 무덥게 느껴지네요. 그래서 회사는 물론이고 집에서 쉴새 없이 에어컨을 돌리고 있는 요즘입니다.
잘 때도 쉴새 없이 돌리는 탓에 여름의 반 밖에 지나지 않은 지금 시점에서도 누진세에 대해서 염려되기 시작하네요.
알면 아무것도 아니지만 모르면 너무나도 치명적이고 답답한 법이죠.
이번에는 전기요금 누진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나의목차]]
1. 누진세 정의 및 목적
주택용요금 누진제는 1973년 석유파동을 계기로 소비부문 에너지 절약과 저소득층 보호를 목적으로 시행된 제도 입니다.
제도의 이름처럼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은 단가가 적용되는 방식의 요금제입니다.
누진제에는 총 3단계 존재하며 각 단계에 200kwh 가 추가 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구조 입니다.
2 고압전력 저압전력 그리고 계절
전력은 고압전력과 저압전력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요금 계산방법이 달라집니다.
여기에 추가로 계절(여름-7,8월 과 나머지 기간)에 따라 전기요금 누진세 계산 방식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주택에서는 저압전력을 사용하며, 대부분의 아파트에서 아파트의 특성 때문에 고압 전력을 사용하게 됩니다.
간단히 누진세 구간별 / 계졀별 전기요금을 표로 확인해보겠습니다.
●주택용전력(저압)전기요금표 기타계절(1월 1일~6월 30일, 9월1일~12월 31일)
기본요금(원/호) | 전력량 요금(원/kWh) | ||||
사용량 구간 | 저압 | 고압 | 사용량 구간 | 저압 | 고압 |
200kWh이하 사용 | 910 | 730 | 처음 200kWh까지 | 88.3 | 73.3 |
201~400kWh 사용 | 1,600 | 1,260 | 다음 200kWh까지 | 182.9 | 142.3 |
400kWh 초과 사용 | 7,300 | 6,060 | 400kWh 초과 | 275.6 | 210.6 |
※슈퍼유저요금 : 동계(12월 1일~2월 말일) 1,000kWh초과 전력량요금은 저압 704.5원/kWh, 고압 569.6원/kWh 적용
●주택용전력(저압)전기요금표 하계(7월 1일~8월 31일)
기본요금(원/호) | 전력량요금(원/kWh) | ||||
사용량 구간 | 저압 | 고압 | 사용량 구간 | 저압 | 고압 |
300kWh 이하 사용 | 910 | 730 | 처음 300kWh까지 | 88.3 | 73.3 |
301~450kWh사용 | 1,600 | 1,260 | 다음 150kWh까지 | 182.9 | 142.3 |
450kWh초과 사용 | 7,300 | 6,060 | 450kWh초과 | 275.6 | 210.6 |
※슈퍼유저요금 : 하계(7월 1일~8월 31일) 1,000kWh초과 전력량요금은 저압 704.5원/kWh, 고압 569.6원/kWh 적용
표를 보시면 하계와 기타 계절 간에 누진세 구간의 기준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3단계의 경우 하계기간에 50kWh 정도 추가적인 마진이 있습니다.
이 표에서 알 수 있는 중요한 포인트는 '하계 기간을 기준' 으로 450kWh를 초과할 경우, 전기 요금은 누진세 적용으로 인하여 급격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표에 나온 것처럼 2단계에서 3단계로 넘어가자 말자 기본요금이 급격하게 상승하고, 요금이 거의 4배 이상에 달합니다.
따라서, 사전에 전기 사용량을 확인하시어 450kWh를 넘지 않도록 하는게 전기세 폭탄을 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3. 전기요금 계산법
전기요금 계산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한국전력공사에서 제공하는 전기요금 계산기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s://cyber.kepco.co.kr/ckepco/front/jsp/CY/J/A/CYJAPP000NFL_T.jsp
1) 전기 요금 계산기 바로가기를 누릅니다.
2. 해당하는 계약종별 선택을 하신 뒤, 조건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3. 사진과 같이 비용이 나옵니다.
사진은 451kWh와 450kWh를 넣어서 계산한 것인데, 1kWh 차이로 기본요금에 엄청난 차이가 발생하였음을 볼 수 있습니다. 1kWh 차이로 이렇게 비용 차이가 발생한다면 억울하겠지요?
이상으로 전기요금 누진세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봤는데요.
저압이니 고압이니 하는 것들은 개인에게 크게 중요해보이지 않고, 450kWh만 넘기지 않으면 상당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점만 알아도 충분히 전기세 절감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해요.
아직 여름이 1달 가량 남았는데, 앞으로 저도 전기량을 눈치 봐가면서 사용해서 전기세 폭탄을 피하도록 해야겠습니다.
여러분들도 남은 여름 잘 보내시고, 건강하시길 바라겠습니다.